코로나19

코로나19 백신 올해 나오나… 미·영·중서 마지막 단계 남아

조명연합 2020. 7. 23. 02:18

코로나19 백신 올해 나오나… 미·영·중서 마지막 단계 남아

 

지난 4월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미생물학자 엘리사 그라나토가 코로나19 시험용 백신을 맞고 있다. 20일 옥스퍼드대는 1단계 임상시험 결과에서 백신 접종자 전원의 체내에서 중화항체와 T세포가 모두 형성됐다고 발표했다.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이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선두 업체 3곳에서 일제히 긍정적인 중간 결과를 발표하며 연내 백신 개발 가능성에 기대를 높이고 있다.

다만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기까지 고위험군 임상 시험 등 과정들이 남고 변수가 있어 ‘나올 때까지 나온 게 아니다’라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이날 미국, 영국, 중국을 대표하는 백신 개발 3개사가 줄줄이 긍정적인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화이자·독일 바이오엔테크,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중국 칸시노 등 3곳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백신 후보는 160개에 달하며 이 중 23개가 인체 실험에 들어갔다.

이 중에서도 선두주자로 꼽히던 3개사는 이날 일제히 진전된 결과를 발표했다.

화이자는 실험용 코로나19 백신의 두 번째 초기 시험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으며 아스트라제네카도 1단계 임상시험 결과에서 백신 접종자 전원의 체내에서 중화항체와 T세포가 모두 형성됐다고 발표했다. 중국 칸시노 생물 주식회사와 중국군 연구진도 공동 개발한 백신이 대부분의 피실험자에게서 안전하게 항체 면역반응을 도출했다고 이날 밝혔다.

존스홉킨스대 백신 전문가인 윌리엄 모스 등도 의학 전문지 랜싯에 “전체적으로 보면 이들 중간 결과는 서로 유사하며, 희망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올해 말까지 백신을 개발하려는 목표에도 한층 힘이 실리게 됐다고 WSJ은 진단했다.

선두권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에 가속 페달을 밝으면서 이제는 마지막 단계인 대규모 임상 시험 결과로 초점이 옮겨졌다는 점에서다. 화이자는 이달 말 최대 3만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며 칸시노는 최대한 빨리 3단계 임상 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백신 업체들의 시험이 순항함에 따라 국가별 백신 확보 경쟁에도 불이 붙게 됐다.

아직 어느 업체에서 백신이 성공적으로 개발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가능한 한 여러 백신 물량을 미리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미국은 주요 제약사들에 자금을 지원 중으로, 이 중 하나인 옥스퍼드대는 지난 5월 아스트라제네카에 최소 3억명 분량의 백신 공급 대가로 12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다른 나라들과도 백신 공급 계약을 맺었는데, 이는 총 20억명 분량으로 이중 절반은 연내 생산을 목표로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화이자·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3천만개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영국 정부는 이와 별개로 프랑스에 본부를 둔 백신 개발 바이오업체인 발네바로부터 백신 6천만개를 공급받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영국 정부는 옥스퍼드대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성공할 경우 모두 1억개를 공급받는 내용의 계약을 아스트라제네카와 체결했다. 이번 추가 계약으로 영국이 확보한 백신 물량은 2억 3천만개에 이르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다만 이들 3개사의 백신이 대량으로 보급되기까지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있다.

역대 백신 후보 중 최종적으로 시장에서 살아남는 단계까지 간 비율은 6%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1년 이상 테스트 절차를 거쳐 나왔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백신 또한 고령층, 당뇨병 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 수천명을 포함한 임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는 단계가 아직 남아있다.

한편 코로나19 확진자가 한 명도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북한도 백신을 개발 중이며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그 배경에 주목이 되고 있다.

CNN방송은 이날 북한이 내부 선전을 위해 백신 개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NN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다시 한 번 도전해 북한 주민을 보호할 것이라는 점을 확신시키려는 의지와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출처] : 천지일보(http://www.newscj.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