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토병 4

인니서도 원숭이두창 감염자 첫 확인…"해외서 입국 20대 남성"

인니서도 원숭이두창 감염자 첫 확인…"해외서 입국 20대 남성" 원숭이두창이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에서도 감염자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AFP통신 등 외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보건부에 따르면 이 감염자는 해외에서 입국한 27세 남성이다. 보건부 대변인인 모함마드 시아흐릴은 "해당 감염자는 원숭이두창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증상이 나타나자 곧바로 의사에게 검진을 받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 감염자가 어느 나라에서 입국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등에서 이미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나온 상태다. 원숭이두창은 1958년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프리카 풍토병이던 원숭이두창은 지난 5월부터 다른 나라에서..

국제 2022.08.20

풍토병 된 말라리아, 왜 감염 면역력이 생기지 않을까

풍토병 된 말라리아, 왜 감염 면역력이 생기지 않을까 항체 형성 주도하는 보조 T세포, 클론 간 '교차 반응' 없어 T세포 수용체, 백신에 있던 항원결정기만 결합 독일 암 연구 센터, '사이언스 면역학'에 논문 국내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계적으로 말라리아는 가장 위험한 전염병으로 꼽힌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매년 60만 명 이상의 말라리아 사망자가 나온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물려 말라리아 원충이 감염되는 일종의 기생충병이다. 병원체인 말라리아 원충은 단세포 진핵생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전혀 다르다. 말라리아 원충은 5종이 알려졌으나, 가장 위험한 건 '열대열 원충', 약칭 Pf(Plasmodium falciparum)다. 국내엔 '삼일열 원충'(P. vivax) 한 종..

국제 2022.06.21

“델타 변이가 대유행 끝… 코로나 ‘두번째 독감’ 전망”

“델타 변이가 대유행 끝… 코로나 ‘두번째 독감’ 전망” [천지일보=이솜 기자] 델타 변이가 주도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마지막 주요 팬데믹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이사를 맡고 있는 스콧 고틀리브 전 미 식품의약국(FDA) 국장이 23일(현지시간) 밝혔다. 다만 아직 이번 유행은 끝나지 않았고, 코로나19가 독감과 같이 풍토병이 되더라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고틀리브 전 국장은 덧붙였다. 고틀리브 전 국장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백신 면역을 회피하는 변이 출현 등 예기치 않은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한 대유행은 이번 델타가 마지막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이번이 감염의 마지막 주요 유행이..

코로나19 2021.09.25

모더나 CEO "코로나, 사라지지 않아…영원히 함께할 것"

모더나 CEO "코로나, 사라지지 않아…영원히 함께할 것"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풍토병화 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모더나의 최고경영자(CEO) 스테파네 반셀은 이 전염병이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1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반셀은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우리는 이 바이러스와 영원히 함께 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당국과 전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풍토병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19가 항상 지역사회에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반셀도 이런 시각에 동의했다. 그는 "SARS-CoV-2(코로나19)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과학자들이 백신을 만들 수 있도록 보건 당국자들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코로나19 2021.01.15